-
CB점수란 개인신용평점회사(CB사)가 개인의 신용점수를 수집하여 이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 후 향후 1년 내 90일 이상 장기연체등 신용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지표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용평가사는 나이스평가정보(NICE)와 코리아크레딧뷰(KCB)에서 개인의 신용점수를 평가합니다.
신용등급, 신용점수 란
신용등급은 평가된 개인의 신용점수를 등급화하여 1에서 9등급 까지 차별화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2021년도부터 신용등급은 공식적으로 폐지화 되었으며 신용점수만 가지고 평가를 합니다.
금융사 내부 신용평점 시스템(CSS)
금융회사 내부신용평점시스템은 은행, 증권사, 제2금융권등 거래고객을 대상으로 CB사에서 제공하는 신용평점, 신용정보 및 자체 보유하고 있는 거래정보를 반영하여 개인의 신용평점을 관리하는 내부 시스템입니다. 금융회사는 내부신용평점과 개인이 제공하는 직장정보, 소득정보 등을 바탕으로 대출한도, 금리 등을 결정합니다.
이에 따라 저금리 대출이 필요하신 분은 주거래 은행에서 우선 확인해 보는 것이 유리한 것입니다.
신용등급 점수표
등급 나이스지키미(NICE) 올크레딧(KCB) 1 900 ~ 1,000점 942 ~ 1,000점 2 870 ~ 899점 891 ~ 941점 3 840 ~ 869점 832 ~ 890점 4 805 ~ 839점 768 ~ 831점 5 750 ~ 804점 698 ~ 767점 6 665 ~ 749점 630 ~ 697점 7 600 ~ 664점 530 ~ 629점 8 515 ~ 599점 454 ~ 529점 9 445 ~ 514점 335 ~ 453점 10 0 ~ 444점 0 ~ 334점 나이스와 올크레딧의 평가기준이 상이하기에 등급별 점수가 다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용점수 쉽게 확인하는 방법
요즘 다들 카카오뱅크 계좌를 가지고 계실 텐데요, 카뱅 어플 메뉴에서 '내 신용정보'에서 CB사별로 점수가 각각 나오니 편리하게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 쉽게 확인하는 방법 신용점수 1,000점이 되는날까지 열심히 점수올리기 해야 겠어요